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볼게요. '친하지 않나요?' 발랄한 배경인데요, 어느 사이인가요? <br><br>윤석열 당선인과 장관 후보자들인데요. <br> <br>오늘 청문회에서 민주당 의원들은 당선인과의 친분을 집요하게 파고들었습니다. <br><br>[강병원 / 더불어민주당 의원]<br>"우리 40년 지기 친구에게는 어떤 마음이 듭니까?" <br><br>[정호영 /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]<br>"40년 지기는 아니고 이제 대구지검에서 근무할 때부터 몇 번 본 사이인데…." <br> <br>[강병원 / 더불어민주당 의원]<br>"죄송하다는 생각은 안 드나요? 지지율 다 까먹고 있다니까요." <br><br>[김성주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)]<br>"왜 이런 후보자를 윤석열 당선인은 지명했을까요? 정말 40년 지기 맞습니까?" <br><br>[정호영 /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(오늘)]<br>"40년 지기라는 말은 잘못된 말입니다." <br> <br>[김성주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)]<br>"그럼 몇 번이나 만났습니까?" <br> <br>[정호영 /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(오늘)]<br>"1년에 한 두어 번씩 그렇게 만났을 겁니다. 40년 지기는 아니죠." <br><br>Q. '40년 지기'가 오히려 후보자에게는 큰 부담이 되고 있어요. <br><br>전문성이나 능력보단 개인적인 인연을 앞세운 인사라는 인상을 주니까요. <br> <br>당선인의 충암고, 서울법대 후배인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도 비슷한 질문이 나왔습니다. <br><br>[김민철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)]<br>"지명받으실 때 언제 누구로부터 받으셨나요?" <br> <br>[이상민 /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(오늘)]<br>"당선인으로부터 받았습니다." <br> <br>[김민철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)]<br>"당선인하고는 사석에서는 어떻게 호칭을 하시나요?" <br> <br>[이상민 /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(오늘)]<br>"고등학교 동문회나 그런 데서는 당연히 뭐 형님 이렇게 했었고요." <br> <br>[김민철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)]<br>"호형호제하는 사이시죠?" <br> <br>[이상민 /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(오늘)]<br>"그전에는 그랬습니다." <br> <br>[김민철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)] <br>"윤핵관 깐부 인사다. (이렇게) 설명을 드리고 싶어요." <br><br>한편 민주당은 후보자 명단을 가지고 인사청문회 중간 평가를 했는데요. <br><br>[강병원 / 더불어민주당 인사청문특위 간사]<br>"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는 이미 국민 검증에서 탈락했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(현장음) 아, 떨립니다. <br><br>(현장음) 심각한 상황이 됐습니다.<br> <br>말로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하는데, 어째 분위기는 심각하지 않아 보이네요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검수완박은 알겠는데 표자완박은 뭔가요? <br><br>표현의 자유가 완전 박탈된다는 우려인데요.<br> <br>민주당이 발의한 법안 때문입니다.<br><br>민주당 의원 10명은 최근 온라인에서 사생활 침해나 명예훼손을 당했을 때 피해자가 해당 게시판의 운영 중지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는데요. <br><br>쉽게 말하면 피해자가 악플 뿐 아니라 악플이 올라온 게시판도 문 닫게 요청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겁니다. <br><br>Q. 악플에 시달리는 유명 인사들은 좋아할 것 같은데요. 반대로 '커뮤니티 폐쇄법'이라는 반발도 크더라고요. <br><br>네, 정치권이 불편한 게시판을 막는 제도로 악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데요. <br><br>해당 발의안에는 "개인의 자유를 박탈" 하고 "표현의 자유를 말살"한다며 "국민 입막음법" "독재법"이라는 반대 의견이 이틀 만에 수천 건이 올라왔습니다. <br><br>Q. 얼핏 보면, 일리가 있는 지적 같은데요. <br><br>발의한 의원 측은 그건 오해라고 했습니다. <br><br>모든 게시판이 아니라, 목적이 뚜렷한 게시판에 한정된 법이라는 설명입니다. <br><br>예를 들면 '동정민 갤러리','홍길동 갤러리' 같이 누군가를 타깃으로 한 게시판만 해당되고, 여러 주제로 대화하는 일반 커뮤니티는 해당하지 않는다는 건데요.<br> <br>표현의 자유, '표자' 완박이 안 되도록, 잘 따져봐야겠습니다. <br><br>Q. 마지막 주제 보시죠. 윤호중 민주당 비대위원장의 말인가보죠. 굿 거버넌스, 무슨 이야기인가요? <br><br>박병석 국회의장을 향해 '앙증맞다' 발언을 한 배현진 의원의 징계를 주장하던 윤호중 위원장, GSGG를 썼던 민주당 의원과 형평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자 이렇게 답했습니다. <br><br>Q. (GSGG는) 징계 논의할 사안 아니다 하면서 논의도 안 하셨잖아요.<br> <br>[윤호중 /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(오늘, CBS '김현정의 뉴스쇼')]<br>"(GSGG는) 국회의사당에서 한 게 아니라 SNS에 올린 내용이었는데 본인이 또 해명을 했고요. 그게 '굿 거버넌스' 이런 뜻이다." <br><br>Q. GSGG가 욕이 아니라면서 영어 단어를 끼워맞췄었던 걸 말하는 거죠. <br><br>네, 심지어. 마지막 G는 맞지도 않았었죠. <br> <br>김승원 의원이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까지 한 일인데 오늘 윤 위원장이 또 우긴 셈입니다. <br><br>Q. 이 장면은 검수완박 법안으로 여야가 충돌했던 모습이네요. <br><br>이때 김기현 의원이 법사위원장석에 앉았죠.<br> <br>하지만 '점거'는 아니라고 했습니다. <br><br>[김기현 / 국민의힘 의원(오늘, MBC '김종배의 시선집중')]<br>"위원장석이 빈자리였기 때문에 제가 잠시 다리도 아프고 앉아 있었는데." <br><br>어제 최강욱 의원의 '짤짤이' 해명부터 빈자리 해명, '굿 거버넌스'까지. <br> <br>의원님들, 국민이 납득하기 어려운 억지 해명은 안 하셨으면 좋겠습니다.(억지해명) <br><br>Q. 사과하면 한 번에 끝날 일을 변명이나 해명으로 두 번 비판 받는 걸 보면 안타깝기도 해요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·배영진PD <br>그래픽: 천민선 디자이너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donga.com